화양연화

발달심리학2: 영유아기 정서 발달, 청소년기 발달, 발달 이론, 닷지의 사회적 정보처리이론, 신경발달장애 본문

만학도/상담심리사2급 필기

발달심리학2: 영유아기 정서 발달, 청소년기 발달, 발달 이론, 닷지의 사회적 정보처리이론, 신경발달장애

도르_도르 2024. 5. 20. 14:34

1. 다음 중 영유아기의 정서 발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① 일차 정서는 6~8개월에 처음 나타난다.

② 분노 울음은 기본 울음의 변형이다.

③ 분리에 대한 저항은 생후 13~15개월에서 최절정을 보인다.

④ 영아는 안정감을 가질 때 낯선 사람에 대한 불안을 덜 나타내는 경향성이 있다.

⑤ 사회적 미소는 의식 상태에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. 

<해설>
① 일차 정서: 인간이나 다른 동물들에게서 나타나는 초기 정서는 놀람, 관심, 즐거움, 분노, 슬픔, 공포, 혐오 등을 포함하며 6~8개월에 처음 나타난다.
② 울음 종류
- 기본 울음: 울음을 구성하는 리듬이 있는 패턴이고 간단한 침묵 후에 주로 나타난다.
- 분노 울음: 기본 울음과 비슷하지만 격분과 관련되어 더 과다한 공기가 성대를 통해 밀려 나온다.
고통 울음: 강도 높은 자극에 의해 유발되며 큰 울음이 갑작스럽게 출현하는 등 다른 울음의 형태와는 다르다.
⑤V 미소 구분 
- 반사적 미소: 의식 상태에서 나타나지 않고, 외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.
- 사회적 미소: 외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6~10주가 지나면 나타난다.

 

2. 다음 중 청소년기 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① 엘킨드(Elkind)는 피아제의 '자아중심성' 개념을 청소년기의 특성에 적용하여 확장시켰다.

② 미드(Mead)는 청소년의 성격이 사회적 맥락과 일치할 때 적응적인 발달이라고 보았다. 

③ 높은 수준의 상상적 청중을 경험하는 청소년은 자아개념, 자기존중감 정도가 낮다.

④ 대뇌 발달은 10대보다 청년기에 더 극적인 변화가 나타난다.

⑤ 개인적 우화는 여자보다 남자가 더 많이 경험한다.

<해설>
① 엘킨드는 피아제의 ‘자아중심성’을 청소년기의 특성에 적용 및 확장시켜 ‘개인적 우화’, ‘상상적 청중’ 개념을 주창했다.
②V (Mead가 아닌) Lerner가 청소년의 기질과 성격이 사회적 맥락과 일치하거나 좋은 적합도를 가질 때 적응적으로 발달한다고 보았다. 
*미드(Mead)-문화인류학적 모형
- 단계 이론 거부, 발달의 연속성 강조
- 문화적 상대론: Samoa 섬 청소년들은 서구 청소년들에 비해 평화로운 청소년기를 보냄 -> 문화에 따라 사춘기가 혼란스럽지 않을 수 있음 ∴ 청소년기 심리적 특성은 생물학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는 통합적 입장 제시
*러너(Lerner)-맥락주의 모형
- 순환적 기능: 개인이 지닌 기질적 특성이 환경적 맥락에 영향 미치고 이게 다시 개인의 경험을 장을 형성하여 발달에 영향 미침
- 확률적 생성: 동일한 환경적 맥락이라도 이를 받아들이는 개인에 따라 그 상호작용은 달라질 수 있음

 

3. 다음 중 발달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
① 긴즈버그(E. Ginzberg): 진로발달 과정에서 자아개념은 중요한 요인이다.

② 콜버그(L. Kohlberg): 도덕성을 도덕적 행동 측면에서 전인습적, 인습적, 후인습적 수준으로 구분한다.

③ 비고츠키(L. Vygotsky): 유아는 적절히 어려운 과제를 수행할 때 혼잣말을 많이 사용한다. 

④ 홀(S. Hall): 성, 친밀감, 안전 욕구 간의 충돌로 질풍노도의 시기를 겪는다.

⑤ 에릭슨(E. Erikson): 특정 단계의 위기를 해결하지 않고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.

<해설>
① 긴즈버그->수퍼(D. Super)
② 행동->사고(인지)
③V
④ 홀->설리반(H. Sullivan) / 홀은 과도기적 단계를 언급
⑤ 있다->없다

 

4. 닷지(K. Dodge)의 공격에 대한 사회적 정보처리이론의 순서로 옳은 것은?

ㄱ. 해석단계
ㄴ. 반응의 평가와 결정 단계
ㄷ. 행동 수행 단계
ㄹ. 사회적 단서의 선택적 부호화 단계
ㅁ. 가능한 행동 탐색 단계

① ㄱ > ㄴ > ㅁ > ㄹ > ㄷ

② ㄷ > ㄱ > ㄴ > ㅁ > ㄹ

③ ㄴ > ㄷ > ㄱ > ㄹ > ㅁ

④ ㄹ > ㄱ > ㅁ > ㄴ > ㄷ

⑤ ㅁ > ㄴ > ㄷ > ㄱ > ㄹ

<해설> ④V *닷지의 사회정보처리모델
- 1단계: 사회적 단서의 선택적 부호화 단계(사회적 단서에 주의 기울이기)
- 2단계: 해석단계(단서의 의미 이해하기)
- 3단계: 가능한 행동 탐색 단계(기억으로 부터의 반응 인출)
- 4단계: 반응의 평가와 결정(가능한 반응들 장단점 평가)
- 5단계: 행동 수행단계(선택한 반응을 행동으로 표현)

 

5. 다음 중 신경발달장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① 지적장애는 후천적인 손상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.

② 신경발달적 운동장애에는 발달성 협응장애, 상동증적 운동장애, 틱장애가 포함된다.

③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심각도 수준은 1~4단계로 구분한다.

④ ADHD의 과잉행동 증상은 성인기에 들어서면 약해지지만 충동성은 지속된다.

⑤ 4세 미만의 아동에게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를 진단하는 일은 드물다.

<해설>
① 지적장애는 발달 시기 동안의 심각한 두부 손상과 같은 후천적인 손상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고, 이 경우에는 신경인지장애도 함께 진달할 수 있다.
② 자폐스펙트럼의 심각도 수준은 1단계(지원이 필요한 수준), 2단계(많은 지원을 필요로 하는 수준), 3단계(상당히 많은 지원을 필요로 하는 수준)으로 구분한다.
③V

④ [ADHD의 시기별 경과]
- 초등학생: ADHD가 심해지고 부주의가 뚜렷해짐.
- 청소년기, 성인기: 과잉행동은 약해지지만, 좌불안석, 부주의, 계획성 부족, 충동성은 지속됨.

 

Comments